News Highlights

K-AI 연구실 선정

본 연구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‘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’ 개발 사업에서 K‑AI 타이틀이 부여된 5대 정예 연구실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. (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18/0006081401?sid=105)

KULLM3 공개

본 연구실이 한국어 생성 능력에 특화된 KULLM3 모델을 공개했습니다.(https://www.aitimes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0926)

KURE 공개

본 연구실이 한국어 특화 임베딩 모델 KURE를 공개했습니다.(https://www.newsis.com/view/NISX20241202_0002980099)

Latest News

EMNLP 2025 13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서재형 박사, 문현석 연구원의 “The Impact of Negated Text on Hallucination with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EMNLP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어수경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Mixture-of-Clustered-Experts: Advancing Expert Specialization and Generalization in Instruction Tuning” 논문이 EMNLP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김진성, 구선민 연구원의 “Semantic Inversion, Identical Replies: Revisiting Negation Blindness in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EMNLP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문현석, 홍성태 연구원, 서재형 박사의 “Metric Calculating Benchmark: Complicate Instruction Following Benchmark for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EMNLP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김동준, 심규호, 전용찬, 김민혁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Benchmark Profiling: Mechanistic Diagnosis of LLM Benchmarks” 논문이 EMNLP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김민혁, 이승윤 연구원의 “TORSO: Template-Oriented Reasoning Towards General Tasks” 논문이 EMNLP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, 서재형 박사의 “MultiDocFusion : Hierarchical and Multimodal Chunking Pipeline for Enhanced RAG on Long Industrial Documents” 논문이 EMNLP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서재형 박사, 정다현, 이재욱, 전용찬, 김동준 연구원의 “KoLEG: On-the-Fly Korean Legal Knowledge Editing with Continuous Retrieval” 논문이 EMNLP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문현석 연구원, 서재형 박사, 구선민, 김진성 연구원의
“LimaCost: Data Valuation for Instruction Tuning of Large Language Models
” 논문이 EMNLP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구선민, 김진성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HAWK: Highlighting Entity-aware Knowledge for Alleviating Information Sparsity in Long Contexts” 논문이 EMNLP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이재욱, 정다현 연구원의 “StepKE: Stepwise Knowledge Editing for Multi-Hop Question Answering” 논문이 EMNLP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ZEBRA: Leveraging Model-Behavioral Knowledge for Zero-Annotation Preference Dataset Construction” 논문이 EMNLP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Can Code-Switched Texts Activate a Knowledge Switch in LLMs? A Case Study on English-Korean Code-Switching” 논문이 EMNLP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ICLR 2025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서재형 연구원의 “K-HALU: Multiple Answer Korean Hallucination Benchmark for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ICLR 2025에 Accept 되었습니다.

ACL 2025 5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이정섭, 홍성태, 문현석 연구원의 “Cross-Lingual Optimization for Language Transfer in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ACL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Rethinking KenLM: Good and Bad Model Ensembles for Efficient Text Quality Filtering in Large Web Corpora” 논문이 ACL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문현석, 서재형 연구원의 “Call for Rigor in Reporting Quality of  Instruction Tuning Data” 논문이 ACL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이승윤, 홍성태, 문현석 연구원의 “Semantic Aware Linear Transfer by Recycling Pre-trained Language Models for Cross-lingual Transfer” 논문이 ACL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전용찬, 김민혁, 김동준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Enhancing Automatic Term Extraction in Large Language Models via Syntactic Retrieval” 논문이 ACL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NAACL 2025 Industry 4편 게재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Open Ko-LLM Leaderboard2: Bridging Foundational and Practical Evaluation for Korean LLMs” 논문이 NAACL 2025 Industry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Understanding LLM Development Through Longitudinal Study: Insights from the Open Ko-LLM Leaderboard” 논문이 NAACL 2025 Industry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제윤 석사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CharacterGPT: A Persona Reconstruction Framework for Role-Playing Agents” 논문이 NAACL 2025 Industry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Dataverse: Open-Source ETL (Extract, Transform, Load) Pipeline for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NAACL 2025 Demo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ACL 2025 Industry 2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심규호, 홍성태 연구원의 “REVISE: A Framework for Revising OCRed text in Practical Information Systems with Data Contamination Strategy” 논문이 ACL 2025 Industry-Oral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장영준, 홍성태, 손준영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From Ambiguity to Accuracy: The Transformative Effect of Coreference Resolution on 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 systems” 논문이 ACL 2025 SRW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COLING 2025 Industry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sDPO: Don’t Use Your Data All at Once” 논문이 COLING 2025 Industry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NAACL 2025 5편 게재

본 연구실의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LCIRC: A Recurrent Compression Approach for Efficient Long-form Context and Query Dependent Modeling in LLMs” 논문이 NAACL 2025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정다현, 서재형, 이재욱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CoME: A Unlearning-based Approach to Conflict-free Model Editing” 논문이 NAACL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문현석, 서재형, 이승윤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Find the Intention of Instruction: Comprehensive Evaluation of Instruction Understanding for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NAACL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정다현, 이승윤, 문현석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FLEX: A Benchmark for Evaluating Robustness of Fairness in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NAACL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희, 문현석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의 “MIRAGE: A Metric-Intensive Benchmark for 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 Evaluation” 논문이 NAACL 2025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박찬준 박사 숭실대학교 교수 임용

본 연구실의 박찬준 박사가 우수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2025년 9월부로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.

COLING 2025 2편 게재

본 연구실의 홍성태, 이승윤, 문현석 연구원의 “MIGRATE: Cross-Lingual Adaptation of Domain-Specific LLMs through Code-Switching and Embedding Transfer” 논문이 COLING 2025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박찬준 연구교수의 “Representing the Under-Represented: Cultural and Core Capability Benchmarks for Developing Thai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COLING 2025에 Accept 되었습니다.

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손수현 연구원, 박찬준 연구교수, 이정섭 연구원, 이찬희 박사, 장윤나, 서재형 연구원, 임정우 박사의 “An Analysis on Language Transfer of Pre-trained Language Model with Cross-lingual Post-training” 논문이 Top-tier 저널인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See More

EMNLP 2024 Industry 3편 게재

본 연구실의 박찬준 박사의 “Evalverse: Unified and Accessible Library for Large Language Model Evaluation” 논문이 EMNLP 2024 Demo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박사의 “SAAS: Solving Ability Amplification Strategy for Enhanced Mathematical Reasoning in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EMNLP 2024 Industry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홍성태, 신중민, 서재형, 이태민 연구원의 “Intelligent Predictive Maintenance RAG framework for Power Plants: Enhancing QA with StyleDFS and Domain Specific Instruction Tuning” 논문이 EMNLP 2024 Industry Track에 Accept 되었습니다.

Applied Intelligence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손수현, 임정우, 구선민, 김진성 연구원의 “A Large-Scale Dataset for Korean Document-level Relation Extraction from Encyclopedia Texts” 논문이 Applied Intelligence에 Accept 되었습니다.

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우수논문상 3장 수상

본 연구실의 어수경 연구원이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구선민 연구원이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임정우 연구원이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.

LREC-COLING 2024 2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어수경, 임정우, 박찬준 박사 (Upstage), 문현석, 서재형, 연구원의 “KNOTICED: A Dataset for Critical Error Detection in English-Korean Machine Translation” 논문이 LREC-COLING 2024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이승윤, 박찬준 박사 (Upstage), 정다현, 문현석, 서재형, 어수경 연구원의 “Leveraging Pre-existing Resources for Data-Efficient Counter-Narrative Generation in Korean” 논문이 LREC-COLING 2024에 Accept 되었습니다.

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(HCLT) 2022 19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어수경, 구선민, 정다현 연구원, 박찬준 박사, 서재형, 문현석 연구원의 “KoCED: 윤리 및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는 기계번역 오류 탐지를 위한 학습 데이터셋” 논문이 제34 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(HCLT 2022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임정우, 손준영, 김진성, 허윤아, 서재형, 장윤나 연구원의 “상호참조 정보와 대화 그래프를 활용한 대화 관계추출 모델” 논문이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 처리 학술대회 (HCLT 2022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EMNLP 2023 6편 게재

본 연구실의 서재형, 문현석, 이재욱, 어수경, 박찬준 연구원의 “CHEF in the Language Kitchen: A Generative Data Augmentation Leveraging Korean Morpheme Ingredients” 논문이 자연어처리 Top-tier conference인 EMNLP 2023 Main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본 연구실의 손준영, 김진성, 임정우, 장윤나 연구원의 “Explore the Way: Exploring Reasoning Path by Bridging Entities for Effective Cross-Document Relation Extraction” 논문이 자연어처리 Top-tier conference인 EMNLP 2023 Findings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본 연구실의 장윤나, 손수현, 이정우, 손준영, 임정우, 문현석, 양기수 연구원의 “Post-hoc Utterance Refining Method by Entity Mining for Faithful Knowledge Grounded Conversations” 논문이 자연어처리 Top-tier conference인 EMNLP 2023 Main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본 연구실의 천창우, 서재형 연구원의 “CReTIHC: Designing Causal Reasoning Tasks about Temporal Interventions and Hallucinated Confoundings” 논문이 자연어처리 Top-tier conference인 EMNLP 2023 Findings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본 연구실의 임정우, 강명훈, 김진성, 김정욱, 허윤아 연구원의 “Beyond Candidates: Adaptive Dialogue Agent Utilizing Persona and Knowledge” 논문이 자연어처리 Top-tier conference인 EMNLP 2023 Findings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본 연구실의 구선민, 박찬준, 김진성, 서재형, 어수경, 문현석 연구원의 “KEBAP: Korean Error Explainable Benchmark Dataset for ASR and Post-processing” 논문이 자연어처리 Top-tier conference인 EMNLP 2023 Main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Transactions on Audio,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1편 게재

본 연구실 임정우, 황태선, 이동엽 연구원의 “Adaptive Multi-Domain Dialogue State Tracking on Spoken Conversations” 논문이 Transactions on Audio,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에 Accept 되었습니다.

COLING 2022 Workshop 개최

본 연구실의 장윤나, 임정우, 허윤아, 손수현 연구원 및 임희석 교수님, 김승룡 교수님의 주도하에 “The 1st Workshop on Customized Chat Grounding Persona and Knowledge”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.

EMNLP 2022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임정우, 강명훈, 허윤아, 김진성, 장윤나 연구원의 “You Truly Understand What I Need: Intellectual and Friendly Dialog Agents grounding Persona and Knowledge”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-tier conference인 EMNLP2022의 findings에 Accept되었습니다.

NAACL 2022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서재형 연구원

, 박찬준, 장윤나, 문현석, 어수경, 구선민 연구원과 A*STAR의 이승훈 연구원의 “A Dog Is Passing Over The Jet? A Text-Generation Dataset for Korean Commonsense Reasoning and Evaluation”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-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NAACL 2022 Findings에 Accept되었습니다.

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(HCLT) 2024 20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정다현 연구원, 박찬준 박사의 “대규모 언어 모델의 지식 편집을 위한 지식 삭제 기반 접근법 연구” 논문이 제36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4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서재형 연구원의 “부정형 텍스트와 거대언어모델의 새로운 환각 현상” 논문이 제36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4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김민혁 연구원의 “SelQ: 한국어 Instruction-tuned 모델의 선택적 양자화” 논문이 제36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4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문현석 연구원의 “초거대언어모델 토큰화 전략에 의한 한국어 불이익” 논문이 제36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4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이정섭, 문현석 연구원의 “대규모언어모델의 언어전이를 위한 X-Optimization 제안” 논문이 제36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4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ECAI 2024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김진성, 구선민 연구원의 “Revisiting Under-represented Knowledge of Latin American Literature in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ECAI 2024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박찬준 박사 Forbes 30 Under 30 Korea – Science/SW 선정

본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박사 (Upstage)가 Forbes 30 Under 30 Korea에 선정되었습니다. 박찬준 박사는 Science/SW 분야에 최종 선정되었습니다.

EACL 2024 3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이동엽, 이호동 연구원의 “Ask, Assess, and Refine: Rectifying Factual Consistency and Hallucination in LLMs with Metric-Guided Feedback Learning“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-tier conference인 EACL 2024 Main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문현석, 이재욱, 어수경 연구원, 박찬준 박사, 서재형 연구원의 “Generative Interpretation: Toward Human-Like Evaluation for Educational Question-Answer Pair Generation“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-tier conference인 EACL 2024 Findings에 Accept 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박찬준 박사, 서재형, 이설화, 손준영, 문현석, 어수경, 이찬희 연구원의 “Hyper-BTS Dataset: Scalability and Enhanced Analysis of Back TranScription (BTS) for ASR Post-Processing”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-tier conference인 EACL 2024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ICML 2023 – DMLR Workshop 5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이승윤, 정다현 연구원, 박찬준 박사, 이설화 연구원의 “Alternative Speech: Complementary Method to Counter-Narrative for Better Discourse” 논문이 ICDM 2023 Data-Centric Al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구선민, 박찬준 박사 (Upstage), 김진성, 서재형, 어수경, 문현석 연구원의 “Toward Practical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ndPost-Processing: a Call for Explainable Error Benchmark Guideline” 논문이 Data-Centric AI 분야에서 유명한 Data-centric Machine Learning Research (DMLR)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. 해당 workshop은 ICML 2023에서 열립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이승준, 문현석, 박찬준 박사 (Upstage)의 “Data-Driven Approach for Formality-Sensitive Machine Translation: Language-Specific Handling and Synthetic Data Generation” 논문이 Data-Centric Al 분야에서 유명한 Data-centric Machine Learning Research (DMLR)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. 해당 workshop은 ICML 2023에서 열립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정다현, 서재형, 이재욱, 박찬준 박사 (Upstage)의 “Knowledge Graph-Augmented Korean Generative Commonsense Reasoning” 논문이 Data-Centric AI 분야에서 유명한 Data-centric Machine Learning Research (DMLR)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. 해당 workshop은 ICML 2023에서 열립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박사 (Upstage), 구선민, 이설화 박사, 서재형, 어수경, 문현석 연구원의 “Synthetic Alone: Exploring the Dark Side of Synthetic Data for Grammatical Error Correction” 논문이 Data-Centric Al 분야에서 유명한 Data-centric Machine Learning Research (DMLR) Workshop에 Accept 되었습니다. 해당 workshop은 ICML 2023에서 열립니다.

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문현석, 박찬준 박사 (Upstage), 구선민, 이정섭, 이승준, 서재형, 어수경 연구원의 “Doubts on the Reliability of Parallel Corpus Filtering” 논문이 Top-tier 저널인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에 Accept 되었습니다. 해당 저널의 impact factor 는 8.5입니다. 해당 연구는 파파고와의 산학협력으로 진행되었습니다.

NAVER Ph.D. Fellowship Award 수상

본 연구실의 서재형, 어수경 연구원이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NAVER Ph.D Fellowship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.

KBS Journal 1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본 연구실 출신의 서재형, 오동석, 어수경 연구원, 박찬준 (Upstage), 양기수, 문현석 연구원의 PU-GEN: Enhancing generative commonsense reasoning for language models with human-centered knowledge논문이 Top-tier 저널인 Knowledge-Based Systems에 Accept되었습니다. KBS 저널의 2021 impact factor는 8.139입니다.

EMNLP 2022 – WMT Track 1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본 연구실 출신의 어수경, 박찬준(Upstage), 문현석, 서재형 연구원이 기계번역 분야의 저명한 컨퍼런스인 WMT 의 Quality Estimation – task3 리더보드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, 해당 논문이 Accept되었습니다.

EMNLP 2024 4편 게재

본 연구실의 구선민, 김진성, 장영준 연구원, 박찬준 박사의 “Where am I? Large Language Models Wandering between Semantics and Structures in Long Contexts” 논문이 EMNLP 2024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구선민, 김진성 연구원, 박찬준 박사의 “Search if you don’t know! Knowledge-Augmented Korean Grammatical Error Correction with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EMNLP 2024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김진성, 구선민 연구원의 “PANDA: Persona Attributes Navigation for Detecting and Alleviating Overuse Problem in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EMNLP 2024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문현석, 이승윤, 홍성태, 이승준 연구원, 박찬준 박사의 “Translation of Multifaceted Data without Re-Training of Machine Translation Systems” 논문이 EMNLP 2024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ACL 2024 4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정다현, 어수경 연구원의 “Towards Precise Localization of Critical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” 논문이 ACL 2024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서재형, 이재욱 연구원, 박찬준 박사 (Upstage), 홍성태, 이승준 연구원의 “KoCommonGEN v2: A Benchmark for Navigating Korean Commonsense Reasoning Challenges in Large Language Models” 논문이 ACL 2024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이정섭, 문현석, 이승준, 어수경, 박찬준 박사 (Upstage) , 서재형, 이승윤 연구원의 “Length-aware Byte Pair Encoding for Mitigating Over-segmentation in Korean Machine Translation” 논문이 ACL 2024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박사 (Upstage)의 “Open Ko-LLM Leaderboard: Evaluating Large Language Models in Korean with Ko-H5 Benchmark” 논문이 ACL 2024 Main에 Accept 되었습니다.

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(HCLT) 2023 20편 게재

본 연구실의 강명훈, 이정섭, 이승윤, 홍성태 연구원의 “KoCheckGPT: 한국어 초거대언어모델 작성 글 판별기“ 논문이 제35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3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이승준, 이태민, 이정우, 장윤나 연구원의 “구름(KULLM): 한국어 지시어에 특화된 거대 언어 모델“ 논문이 제35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3)의 최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이승윤, 박찬준, 김경민 연구원의 “한국의 사회적 맥락에서의 ChatGPT의 독성 및 편향성 분석“ 논문이 제35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3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서재형 연구원, 박찬준 박사, 문현석, 어수경 연구원의 “거대언어모델을 위한 한국어 상식추론 기반 평가“ 논문이 제35 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 (HCLT 2023)의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.

ICJNLP-AACL2023 1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정다현, 어수경 연구원, 박찬준 박사, 문현석, 서재형 연구원의 “Informative Evidence-guided Prompt-based Fine-tuning for English-Korean Critical Error Detection” 논문이 ICJNLP-AACL2023에 Accept되었습니다.

IWSLT 2023 1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이승준, 문현석 연구원, 박찬준 박사 (Upstage)의 “Improving Formality-Sensitive Machine Translation using Data-Centric Approaches and Prompt Engineering” 논문이 기계번역 분야에서 유명한 conference인 IWSLT 2023에 Accept되었습니다.

ACL 2023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어수경, 문현석, 김진성, 허윤아, 김정욱, 천창우 연구원의 “Towards Diverse and Effective Question-Answer Pair Generation from Children storybooks”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-tier conference인 ACL2023의 findings에 Accept 되었습니다.

ACL 2023 Industry 1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이승준, 장윤나, 박찬준 박사(Upstage), 이정섭, 서재형, 문현석, 어수경 연구원의 “PEEP Talk: A Situational Dialogue-based Chatbot for English Education”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-tier conference인 ACL2023의 Demo track에 Accept되었습니다.

AACL 2022 Industry 1편 게재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박찬준 (Upstage), 장윤나 연구원, 이설화 박사 (University of Copenhagen), 서재형, 양기수 (VAIV) 연구원의 “PicTalky: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” 논문이 AACL-IJCNLP 2022 Demo에 Accept되었습니다. PicTalky는 Microsoft Al for Accessibility 해커톤에서 우승을 거둔 작품으로, 연구원들이 후속 연구를 진행 후 논문화에 성공시킨 작품입니다.

COLING 2022 1편 게재

본 연구실의 오동석, 김예진(조지워싱턴 대), 이호동, H. Howie Huang(조지워싱 턴대) 연구원의 “Don’t Judge a Language Model by Its Last Layer: Contrastive Learning with Attention Mechanism Utilizing Layer-Wise Pooling” 논문이 자연어처리 Top-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COLING 2022에 Accept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 및 연구실 출신의 어수경, 박찬준(Upstage), 문현석, 서재형, 김경민, 이정섭 연구원의 “QUAK: A Synthetic Quality Estimation Dataset for Korean-English Neural Machine Translation” 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-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COLING 2022에 Accept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김경민, 김진성, 손준영 연구원의 “KoCHET: a Korean Cultural Heritage corpus for Entity-related Tasks” 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-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COLING 2022에 Accept되었습니다.

본 연구실의 손준영, 김진성, 임정우 연구원의 “GRASP: Guiding model with RelAtional Semantics using Prompt” 논문이 자연언어처리 Top-tier conference 중 하나인 COLING2022에 Accept되었습니다.